티스토리 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이제 우리와 많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차이 기준 농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둘 다 우리 몸에 아주 해롭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미치는 안 좋은 영향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차이 조건 농도 알아보기
목차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화석연료나 자동차의 매연, 공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등이 주요 발생 원입입니다.
또한, 대기 오염 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 된 질산염, 황산염 등의 화학 물질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외에도 발생하는 지역의 계절, 기상 조건에 따라서 구성하는 물질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이점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구분하는 기준은 입자의 크기입니다.
미세먼지의 입자의 크기는 보통 지름이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먼지를 말하면 우리는 PM-10 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의 1/4 크기의 수준으로 작으며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말하며 PM-2.5 라고 지칭합니다.
아무래도 입자의 크기가 작다보니 우리 몸 깊숙히 침투를 하게 되고 우리 몸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미세먼지 | 초미세먼지 | |
크기 | 10 마이크로미터 | 2.5 마이크로미터 |
원인 | 화석연료, 매연, 화학물질 등 | 화석연료, 매연, 화학물질 등 |
영향 | 눈, 코, 피부, 기관지 등 | 눈, 코, 피부, 기관지, 폐, 심혈관, 뇌 등 |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아마 많은 분들이 미세먼지가 우리 몸에 좋지 않다는 사실은 아실 겁니다.
그렇다면 미세먼지와 초미세 먼지는 우리 몸에 얼마나 안 좋은 영향을 미칠까요?
미세먼지는 주로 우리 몸의 외부에 영향을 미치는데 눈과 코, 기관지, 피부 등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미세먼지가 기관지로 침투를 하게 되면 기도에서 걸러내기가 까다롭고 이로 인해 중금속 물질들이 몸 속을 돌아다니며 각종 질환들을 유발하게 됩니다.
초미세먼지의 경우 미세먼지 보다 더욱 작고 가벼운 성질일 지니고 있어서 우리 몸 속 깊숙한 곳 까지 침투를 합니다.
초미세먼지는 천식, 기관지염 등을 유발하고 심할 경우에는 폐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세계보건기구인 WHO는 미세먼지를 1군 발암 물질로 지정을 했습니다.
더욱히 초미세먼지가 뇌에 침투를 하게 된다면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는 때문에 가볍게 생각할 것이 아닙니다.
항상 기상 예보를 확인하고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미세먼지 | 초미세먼지 | |
눈 | 결막염, 각막염 등 | 결막염, 각막염 등 |
코 | 비염 등 | 비염 등 |
피부 | 아토피, 알레르기 등 | 아토피, 알레르기 등 |
폐 | 호흡기 질환, 폐암 등 | 흡기 질환, 폐암, 폐포손상 등 |
심혈관 | 심근경색 | |
뇌 | 치매, 뇌졸중 |